한 걸음 두 걸음
Day4 ACI 특강 ] RagDoll만들기 / Effect Particle/ button 위치 및 bestfit / buttonEvent (script로 Material 바꾸기 실습) 본문
Day4 ACI 특강 ] RagDoll만들기 / Effect Particle/ button 위치 및 bestfit / buttonEvent (script로 Material 바꾸기 실습)
언제나 변함없이 2019. 1. 24. 14:23isTrigger 와 onCollision 구현해봅시다
doll만들기.....아이곸ㅋㅋㅋㅋㅋㅋㅋ
만약 안붙은 곳 있으면 rigidbody 랑 charcter Joint 추가해서 붙여주면 됩니다..
결과..
잘붙어서 돌아다니네요 발 빼고...
rigidbody추가 , character Joint에 화살표처럼 연결해주면 발도 붙네
척추는 미안... 그냥 버려..ㅎ
Hinge Joint도 있고.
이제 어제 만들어놓은 Terrain을 열어보고 Effect를 적용시켜보자면
이렇게 asset store에서 effect를 다운받아주고
파티클 이펙트를 추가해서
이런식으로 색도 입혀주고 그럽니다.
랜덤하게 색이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고
두 가지 색이 랜덤하게 나타남)
랜덤하게 그라이언트 효과를 줄 수도 있음!!!
쨔란~
이제 방출되는 모양도 바꿔보자(emmitter 이미터)
다운받은 asset에서 가져와 사용하기도 했음
fire!!!!
뭔가 맵만드는것같고 공부같지가않네 이거는 ,, 신기하다
뭐 하여튼 이펙트 이벤트를 주는 거 과제!
캐릭터든 뭐든 뭐가 닿았을 때 이펙트가 발생하거나
alt키 누른 채 선택해서 버튼을 카마레 맨 위 옆이나 적절한 위치로 맞춰줍니다.
이를통해 UI scale모드를 맞춰줍니다!! 이게 편해용~~
그런데 너무 위에 붙어있는 것 같으면
버튼의 position을 설정해서 맞춰주면 돼요 ㅎㅎ
버튼의ㅣTEXT에 best Fit해주면 버튼 내에 꽉차게 text가 들어간다. 이거 중요하니
꼭 기억해요~
베스트핏 안쓸거면 text Font size등으로 일일히 수정해주면 되겠지요 : )
원래 그냥 material을 바로 큐브에 씌워주곤 했지만 원래는 rendering에 material칸에 설정해주는 것임!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name1234 : MonoBehaviour
{
public Material mat1;
public Material mat2;
GameObject button1;
public void ChangeMerterial() {
gameObject.GetComponent<Renderer>().material = mat1;
//gameObject와 GameObject 다른데 뭐가 다른거였더라...?
// 이같은경우 자기 스스로를 객체로 받는 것이므로 gameObject라함..!
}
}
잘 수정했어요~~
---
큐브에 script 적용시켜주고, 버튼 이벤트on Clicked에 만들어놓은거 해줌!!
play후 버튼 클릭시 이벤트 먹는 것 확인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