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tc (109)
한 걸음 두 걸음
선행기술조사 필요성 연구개발 시 참고자료를 찾기위해 아이디어 수집을 위해 특허등록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특허성조사란? 연구개발이 완료된 발명의 특허등록 가능성 여부를 미리 판단해보거나, 특허등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행하는 선행기술조사방법 이는 출원된 날자 이전에 선행기술 존재가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므로 날짜를 한정해야하고, 신규성 및 진부성에 겸치는 특허가 없는지 확인해야합니다. 검색절차 처음엔 본원 발명 구성요소를 최대한 포함해서 AND조합이 많이 생기도록 검색식을 만듭니다. 이렇게 하여 결과가 최대 50건이 넘지 않도록 만들어 스캔하고 해당 검색결과에 있으면 스캔하는 것을 그만 두어야합니다. 여기에 나타나지 않았을 경우 AND를 하나씩 풀어서 더 넓은 결과를 확인해보아야합니다. 키프리스에서 ..

espacenet https://www.epo.org/index.html에 가면, 에서 유럽 특허에 대한 것들을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https://worldwide.espacenet.com/ 이곳으로 들어가면 특허검색을 특히 더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데, 이는 National patent offices' databases이기 때문입니다. 이곳엔 smart search, advanced search, classification search(유럽 특허분류를 찾을 수 있음) 등이 있는데 카워드 중심으로 여러 개의 항목간의 and 연상 등을 할 ㄱ수 있는 Advanced Search Service를 통해 검색을 해보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모두 worldwide로 되어있으니 각국의 특허를 확인할 수 있..

미국 특허분류 USPC 1831년부터 미국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분류입니다. "클래스 / 서브클래스"로 표시하며 계층 구조는 .으로 구분합니다. 예 ) "482 / 1" , "704 / 208" 클래스는 450개, 서브 클래스는 15만개정도가 있습니다. (단, DIG7, 15R과 같이 변형된 형태의 코드도 존재합니다.) 단, 미국 특허청은 USPC를 우선적으로 지정하고 관련된 IPC를 기계적으로 설정하므로 USPC의 정확도가 보다 높습니다. USPC 조회하기 https://www.uspto.gov/patents-application-process/search-patents#heading-1 에서 classification으로 검색하기 기능을 통해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이는 IPC와 굉장히..

미국 특허청 특허정보 검색 사이트 uspto 미국 특허청 특허정보를 제공하는 uspto사이트 https://www.uspto.gov/ 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로 들어가면 Patents 밑에 있는 Search for patent를 통해 검색을 할 수 있으며, 등록 특허를 찾는 PATFT와 2001년 3월 이후의 공개특허를 검색할 수 있는 AppFT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국 특허의 정밀한 조사를 위해서라면 등록특허와 공개특허 데이터베이스를 모두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중에서도 PATFT의 Advabced Search는 사용자가 직접 Field Code와 키워드를 연산자를 이용해 서술식으로 입력해 검색식을 만든 후, 쿼리 란에 검색식을 입력하고 검색해야합니다. 키프리스처럼 검색 항목마다 입..

1. 산업재산권의 종류 산업재산권에는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그리고 상표 4가지로 나뉜다. 특허와 실용신안은 기술을 보호대상으로 하고 디자인은 물체의 외관을 보호대상으로 하며 상표는 문자가 로고와 같은 표장을 보호대상으로 한다. 기술을 보호대상으로 하는 특허와 실용신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기술난이도 특허는 원천 핵심 기술을 보호하는 반면, 실용신안은 주변 기술 등 간단한 주변 기술들을 보호한다. 보호범위 특허는 장치와 방법을 보호하는 반면,(난이도에 상관없이 특허만으로 보호) 실용신안은 장치만 보호한다. (소프트웨어 관련 아이디어 및 비즈니스 모델은 실용신안으로 보호하지 못한다.) 등록절차 특허는 특허 신청 - 실체 심사(발명 내용) - 특허 등록 - 민형사적으로 보호조치를 취하는 등 심사 후 등..
특허는 발명을 한 사람들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여 발명을 장려하는 것이 목적이라고하지만 그게 아니어도 연구가 활말히 이뤄집니다. 그리고 특허는 재산권으로서 강력한 독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특허제도의 정보적 기능 일정 기간동안 특정 발명에 대한 독점권을 인정하는 대신 발명에 대한 정보를 세상에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발명 내용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기능 특허정보의 개념 구체적으로 특허 정보는 출원인이 특허권을 인정받기 위해서 각국의 특허청에 특허출원서를 제출하는 출원행위로부터 발생되는 모든 문서상, 행정상의 정보들을 포괄적으로 의미합니다. 기능 : 등록된 특허정보를 이용하면 누가 어떠한 기술을 개발하여 보호받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 개발의 중복 ..
PC : 연결 - 핸드폰에 연결 핸드폰 : 스마트 뷰 - 컴퓨터에 연결 -탭한 항목 표시로 시연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