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rontEnd/Android (97)
한 걸음 두 걸음
예전 소스를 사용하다보니 ConstraintLayout가 안써지더라구요 ㅠ implementation를 해서 추가해준 후 사용해주세요 : )
외장이 없고 내장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으로 Environment.getExternalStorageDirectory().getAbsolutePath(); 를 사용하면 /storage/emulated/0 경로가 반환된다. 경로 확인해보기/ USB연결하면 저렇게 P안드로이드 시스템~뜨는데 클릭해서 파일 전송을 이미지 전송으로 바꿔준다. 그럼 내PC - Phone으로 들어갔을 때 바로 내가 getExternalStorageDirectory로 저장해놓은 파일이 보입니다! (Mobile) \storage\emulated = (Computer) \GalaxyS10e\Phone입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위젯으로 만들어주면 바로 만들어줌. 이제 핸드폰에 RUN 설치 후, 홈화면 꾹 눌러서 위젯 추가해주면 됨. 여기서 위젯 이미지를 설정하는데 imageView를 넣으려면 app:srcCompat이 아니라, android:src 로 해주어야 표시됨!! 중요 버튼의 경우, 위젯에서 클릭을 인식하게 하려면 menifest파일을 수정해주어야한다. 자신의 폴더 이름과 버튼 이름으로 구성된 ACTION이다. 클릭이벤트에 대한 것은 다음에 할꼐.. https://m.blog.naver.com/cosmosjs/221299199145 필요하면 여기 보고 해봐 잘 나와있어 ㅎㅎ 소스로 이미지 변경(외부저장소에 있는 이미지 가져와서 이미지뷰에 등록하기) views.setImageViewBitmap(R...
핸드폰 USB로 연결해줌 내PC에 있는 내 폰으로 들어감 새폴더 만들어줌 이름은 rankers로 지었으나 아무거나 상관없음 가지고있는 apk파일을 폴더로 옮겨줌 설치파일 리스트에 생긴 내 apk파일을 클릭해서 설치과정 진행해주면 됨
Build Variants는 안드로이드스튜디오 왼쪽 패널에 붙어있습니다. 클릭해서 원하는 build로 세팅해주세요 : ) 텍스트 추가 구체적인 buildTypes은 build.gradle에서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Activity 생성하고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드는 경우 intent를 사용한다는 것을 대부분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이 때 그냥 startActivity()로 연결해서 만들어버릴 수도 있겠지만, 인텐트에 flag 값을 설정하여 액티비티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Intent intent = new Intent(this, SubActivity.class); intent.addFlag(Intent.FLAG_ACTIVITY_NEW_TASK); startActivity(intent); 이렇게 사용방법(?)을 익혔으니 각 플래그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LAG_ACTIVITY_NEW_TASK | FLAG_ACTIVITY_CLEAR_TOP | FLAG_ACTIVITY_SINGLE_TOP FLAG_A..
LaunchMode란? Activity launchmode란 액티비티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입니다. (액티비티별로 다르게 줄 수 있습니다!) 관련 포스팅 : LifeCycle https://onepinetwopine.tistory.com/120 Flag https://onepinetwopine.tistory.com/327 매니페스트를 열어보시면 아시겠지만, launchMode가 따로 설정되어있지 않습니다. launchMode는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디폴트로 "standard" 설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4가지 모드는 사용 사례에 따라 두 개씩 묶이는데, 첫 번째 '대부분의 액티비티에 대한 일반적인 시작'으로 묶인 standard와 singleTop의 경우 시작 모드를 갖는 액티비티로 하여금 여러..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평소처럼 개발한 앱을 넣으려고 하는데 인식 안되서 보니 잊고있었던 개발자 모드가 있었네요.. 새로 샀더니 다시 해줘야되고 귀찮아염..휴 설정 - 휴대전화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로 들어가서, 빌드번호를 9연타해줍니다. (9번 터치해줍니다.) 그러면 개발자 모드가 아래처럼 활성화되는데요~ 여기서 한 개만 더 하시면 됩니다. 다시 환경설정으로 돌아가서 맨 아래에 생긴 개발자모드로 들어간 후, USB 디버깅 ON해주면 이제 안스에서 핸드폰이 잡힙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