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Unity (54)
한 걸음 두 걸음
Vuforia SPK https://www.ptc.com/ 기계 조형 금형 자동차 등 공학쪽으로 설계를 하게 된다면 autodesk / ptc / IBM / dasau로 취업을 하게 될 것~~ auto desk ar로 간다면 ptc document를 많이 참고해야할거야 https://developer.vuforia.com/downloads/sdk에 들어가서 회원가입하고 sdk를 다운받아야함! 아.. 네이버 첫 번째 계정으로 만들어버렸다..ㅎ_ㅎ 안드로이드 설치(나는 윈도우 사용하고있으므로..!) 유니티의 빌드세팅 들어가서 안드로이드 - 오픈다운로드페이지 (있으면 안깔아도됨!) 해서 다운받은 후 실행 - 다시 리부트해주기 위의 것 실행~~ 그리고 XR Setting의 vuforial augment Real..
큐브 5개로 뚫린 공간을 만든 후 공 3개를 집어넣는다. control + Z크리고 딱 맞춰줌. control누른채 움직이면 스냅적용 material 3개 만들어서 smooth 0으로 설정해줌, mat_light1을 plane에 추가해주고 emission(자체발광, plane라 한 쪽 면만 발광함!)을 주어 색깔을 지정해줌, 큐브 내 표면에 plane을 넣어주고 directional Light 삭제 후 위처럼 4번째 그림모양 선택함! 그럼 plane만 야광처럼 빛남 카메라 외 모두 static으로 바꿔준 후, 여기 잘못했었다!! auto generate임! 체크풀지마요 스카이박스 none으로 바꿔줌! 하늘 색상이 맘에 안들면 카메라 선택 후 솔리드 컬러 선택 후 색깔 지정해주면 됨. 아 auto gene..
UV가 잘 안맞는경우 swap UVs로 맞춰주기! UV를 새로 하나 더 만들어서 맞춰주는 등 UV관련 체크박스임~ 직립보행 사람인 경우에는 휴머노이드로 설정해주기!! 그 외의 동물은 제너릭 이렇게 모델 아래에 있는 boys를 보면 애니메이션도 함께 있음을 볼 수 있음. 애니메이션은 death 등 다양하게 있음!! 컨트롤러를 더블클릭해서 열어보면 death 스테이트는 어떤 상태에서도 시작될 수 있음을 알려줌! 이미 만들어진 zombie toys scene열어보면 위와 같고, playerMovement스크립트 열어보면 그렇게 정의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북극곰파일 하나 다운받아와서(카페) 새로운 scene의 asset폴더 내에 드래그앤드랍으로 열어주었음 material 내에 있는 폴라베어 넣어주고 폴라베어한..
기술디자인문서 에셋스토어에서 20장 좀비토이스 다운!! - 이걸로 시험 나왔었음~ 수익창출모델 등을 적어야하기도 해요 프로그래머, 레벨디자이너, scene 디자이너 등이 이를 작성합니다. Service 유니티 프로젝트 아이디가 필요합니다.(나는 구글계정으로 연결해 사용했음!) 이는 서비스세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글이 광고를 연결해주고나서 광고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의 2~3%를 커미션으로 가져감 unity Ads 단순광고와 보상광고 unity 애널리틱스 : 사용자의 지출 분석해서 보다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피드백 unity everyPlay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 이탈을 하지 않도록 돕는다. 유니티 퍼포먼서 리포팅 : 게임하면서 발생하는 오류 등을 잡아 최적화한다. 대시보드 클라우드 빌드 : 서..
ray 이해하기 일정한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ray라는 것을 알 수 있다.(ray가 방향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두 벡터 점을 갖고 있다. 이는 origin, dir값으로 나뉘어 console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카메라 시점으로 ray를 사용하고 싶으니 camera ray 키워드로 검색해서 찾아보자면 위와같은 것이 나온다. HMD 기계는 보통 카메라나 컨트롤러로 제어한다. (PC - mouse / keyboard ) 으아아 노정신하다;; 다운받은 스크립트인데 (navigation) 너무 정신없어.. 스크립트 다운받아서 적용함 여기서는 구에 insideout 효과를 주는 것까지 완료함. 이제 button 에 onClick 이벤트를 적용시켜서 동영상 변경까지 했는데 이후에 동영상 내부에서 돌아다니..
선 만들기 선을 생성하려면 두 점을 알아고 색깔을 정해주어야한다. 점은 Vector3이다. 예시 Vector3 point = new Vector3(0,0,0); Debug.DrawRay(point1, point2, color.red) 이에 따라 아래처럼 만들어주었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ray : MonoBehaviour { Vector3 point1 = new Vector3(0, 0, 0); Vector3 point2 = new Vector3(100, 0, 0); // Start is called before the first frame update void ..
간단하게 이런 맵이 있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target(목표물)을 따라 움직이는 mover를 캡슐 3D객체로 하나씩 만들어줄 예정이다. 먼제 target과 mover를 제외한 환경들을 Navigation Static으로 설정해준 후, (navigation창 못찾을까봐 첨부) ( ) bake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지정해주어야한다. 그럼 다음과 같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show NavMesh가 체크되어있어야 볼 수 있다. 그리고 큐브들은 Plane에 맞닿아있어야하며, Plane까지 모두 static Navi 설정을 해주었어야 한다. 여기서 agent Radius나 agent Height 등을 바꿔줌으로써 이동할 수 있는 경로나 높이, 최대 경사 등을 정해줄 수 있다. 위의 사진대로라면 0...